정부가 공식 운영하는
저소득층,근로장려금 지원금
근로장려금 – (2025 정기지급 진행) 단독 165만 / 홑벌이 285만 / 맞벌이 330만원
📅 지급 일정
정기신청분은 8월 26일부터 9월 초까지 순차 지급. 기한후신청은 신청일로부터 4개월 이내(5% 감액).
👪 가구별 최대 지급액
단독 165만 / 홑벌이 285만 / 맞벌이 330만원
※ 재산 1.7~2.4억원 미만은 50% 감액, 2.4억원 이상은 제외
생계급여 – 가구별 월 최대 154만원
📌 유형
기준 중위소득 30% 이하 가구
💰 혜택
2025년 기준: 1인가구 월 739,500원, 4인가구 월 1,541,000원 지원
📅 신청기간
연중 상시 (읍면동 주민센터)
💵 소득요건
중위소득 30% 이하
✅ 조건
주거·재산 기준 충족 필요,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
주거급여 – 월 최대 40만원
📌 유형
중위소득 47% 이하 가구
💰 혜택
임차료 보조 또는 자가 주택 보수 지원 (금액은 지역·가구원수별 차등, 월 최대 약 40만원)
📅 신청기간
연중 상시
💵 소득요건
중위소득 47% 이하
✅ 조건
무주택 또는 자가 주택 보수 필요 가구
교육급여 – 연 최대 약 154만원
📌 유형
저소득층 학생이 있는 가구
💰 혜택
부교재비·학용품비·교과서 전액(고등학생 기준 연 154만원 수준)
📅 신청기간
연중 상시(학기별 집행)
💵 소득요건
중위소득 50% 이하
✅ 조건
초·중·고 재학생
에너지바우처 – 연 최대 19만4천원
📌 유형
생계·의료급여 수급 가구 중 노인·영유아·장애인 포함 세대
💰 혜택
전기·가스·연탄·등유 구입비 연 194,000원(여름·겨울 합산)
📅 신청기간
매년 5월~12월
💵 소득요건
중위소득 50% 이하
✅ 조건
취약계층 세대주
희망저축계좌Ⅰ – 3년 만기 최대 1,440만원
📌 대상
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생계·의료급여 수급 가구
💰 혜택
• 본인저축 10만원 + 정부매칭 30만원
• 3년 만기 시 총 1,440만원 적립
✅ 유의
탈수급 조건 충족 시 매칭금 수령 가능
희망저축계좌Ⅱ – 3년 만기 최대 720만원
📌 대상
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차상위·주거·교육급여 수급 가구
💰 혜택
• 본인저축 10만원 + 정부매칭 10만원
• 3년 만기 시 총 720만원 적립
✅ 유의
탈수급 조건 없이 적립 가능